본문 바로가기
Issue

스타벅스 선불 충전금 고위험 기업어음에 투자?

by wiki-korea 2022. 10. 19.
반응형

스타벅스 선불 충전금 고위험 기업어음에 투자?

커피전문점 스타벅스가 고객의 선불 충전금을 위험도 높은 기업어음에 투자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2022년 10월 7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양 의원은 스타벅스의 회계 감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2021년~2017년) 간 고객이 충전한 선불 충전금 중 대부분(2021년 말 기준, 2,503억 원의 94.4%)을 고금리 상품인 자산유동화 기업어음(ABCP)에 투자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스타벅스가 5년간 미사용 선불 충전금액을 기준으로 ABCP 평균금리로 투자했을 경우 추정 수익은 최소 612억 원에서 최대 649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선불 충전금이란?
고객이 카드와 같은 지불 수단에 미리 넣어 두는 금액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스타벅스의 선불 충전금은 2021년 한 해 국내 스타벅스에서 쌓인 금액은 3,400억 원으로 , 한해 전보다 84%나 늘었는데요. 선불 충전금이 코로나19 격려금 등으로 활용되면서 '코로나 특수'를 톡톡히 누린 거로 보입니다.

 

스타벅스가 발행한 선불카드는 금액형 상품권으로 분류되고 고객이 보관하는 돈은 금감원의 감독 대상에서 제외되어 왔습니다. 때문에 미사용 선불 충전금의 관리 감독이 소홀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었었습니다. 이는 유효기간을 폐지하기로 결정하여 사용자 편의가 반영되었습니다. 그런데 이전 스타벅스는 미사용 선불 충전금을 안전자산에 예치해 관리하고 있으며 5년이 지나도 고객이 환불을 요청하면 새로운 카드를 발급해 돌려준다고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안내하기도 했습니다.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내용이 과거 제시된 안전자산 예치와 관련이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다만 선불 충전금은 고객이 맡긴 금액을 가지고 무이자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기업 입장에서는 좋은 상품임이 분명합니다.

 

이는 고객이 스타벅스 카드에 충전해 놓은 돈으로 투자를 진행한 것입니다. 매년 많은 스타벅스 애용자들이 선불 충전금을 이용해서 스타벅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선불 충전금액이 늘면서 실제 소비에 사용하지 않는 미사용 금액도 함께 증가하고 있어 스타벅스는 매년 많은 적립금을 쌓아오고 있습니다. 어떤 이는 스타벅스가 은행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입니다. 그런데 이번에 문제가 된 점은 고위험 상품이라는 것입니다. 스타벅스가 투자한 자산유동화 기업어음(ABC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산유동화 기업어음(ABCP)란?

자산유동화회사(SPC)가 매출채권, 부동산, 회사채 등의 자산을 담보로 발행하는 기업어음입니다. 주로 매출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기업어음으로 8~9%의 높은 이자를 제공하는 고 금리 상품에 속합니다. 이율이 높은 대신 위험도 또한 높아 원금 손실도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통상 3개월 만기의 단기 유동화증권으로 만기가 긴 일반 대출에 비해 금리가 낮습니다. 일반적으로 자산 유동회 회사는 유동화 자산을 기초로 회사채 형태의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하는데 비해, 자산유동화 기업어음(ABCP)은 회사채가 아닌 기업어음(CP)의 형태로 자산유동화증권(ABS)를 발행합니다. 유동화자산보다 만기가 짧은 ABS를 발행한 뒤 해당 ABS 만기시점 부터 유동화 자산의 만기 때까지 발행된 ABS를 상환하는 조건으로 주기적으로 CP를 차환 발행합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장단기 금리차 때문에 ABS 발행보다 자금 조달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불필요한 여유자금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유리한 점도 있습니다.

 

스타벅스는 금융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아직은 법적 규제 대상은 아닙니다. 그러나 고객이 맡겨 놓은 선불 충전금을 고위험 상품에 투자해서 만일 지급불능 사태라도 일어나면 문제가 크게 될 소지가 있기 때문입니다. 고객이 맡겨 놓은 선물 충전금을 아무런 제한 없이 투자하는 것이 정말 문제가 없는지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제 스타벅스와 같은 충전금을 예치해서 사용하는 기업은 핀테크 업체라고 봐도 될 거 같습니다. 좀 더 합리적이고 안정적인 기업 운영과 소비자의 권익보호를 위해서는 최소한의 안전장치는 마련되어야 할거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