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랜드와 ABCP?
최근 김진태 강원도지사의 발언으로 인하여 레고랜드 ABCP(자산담보기업어음 : Asset backed Commercial Paper)에 대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논란의 발달은 왜 일어났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레고랜드의 개발을 담당하는 강원중도개발공사(GJC : Gangwon Jungdo-development Corporarion)는 대규모 자본이 필요하여 자금조달을 위한 '아이원제일차'를 설립하고 어음을 발행합니다. 어음의 금액은 2050억입니다. 어음의 판매를 위하여 BNK 투자증권이 주관사로 선정되어 여러 증권사와 자산운용사에 팔게 됩니다. 이때 강원도가 보증을 서게 됩니다.
강원중도개발공사는 아이원제일차에 2050억을 빌린 뒤 아이원차는 ABCP를 발행한 거죠. 만기일자는 2022년 9월 29일이었습니다. 그런데 강원중도개발공사는 만기일자에 어음 상환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래서 관련 어음을 사간 투자사들은 강원도가 보증을 섰기 때문에 지급을 요청하게 된 거죠. 그러나 김진태 강원도지사는 이번 사건을 강원중도개발공사를 회생신청을 하겠다고 한 겁니다. 이렇게 된다면 법원에서 회생절차에 들어가면 강원중도개발공사를 법원이 정한 법정관리인이 강원중도개발공사의 자산을 매각해서 발생한 돈으로 투자자들에게 지급하겠다는 말입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매우 불안감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 안정적인 투자 조건으로 채권에 투자를 한 건데 강원중도개발공사가 보유한 자산을 매각 후 언제 받을 수 있을지에 대한 불확신 성이 투자자들을 당황스럽게 했습니다. 지방자치단체가 보증을 선 경우 대부분 신용등급이 높아 안전하다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결국 신용평가사들은 ABCP의 신용등급 조정에 나서 C등급으로 하향 조정됩니다. 이런 과정을 거치자 아이원제일차는 최종 부도처리되었습니다. 이는 지방자치 단체가 보증한 ABCP가 지급불능이 된 건 처음 있는 일로 이례적인 일입니다. 이 여파로 채권시장에 불똥이 튀어 채권 투자가 어려운 상황으로 되어 가고 있습니다. 이는 기업에 대해 자금조달이 어려워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회사채 시장이 자금이 경색되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대외 여건도 불리하기만 합니다. 올해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질 거로 예상되고 있고 연준은 11월에 자이언트 스탭으로 기준금리를 0.75% 인상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도 금리인상을 계속 이어가겠다고 하고 있어 부동산 PF 시자은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된다면 증권사들은 유동성 위험에 빠질 수밖에 없습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시장 안정을 위한 금융위원장 특별 지시상을 통해 채안펀드 여유재원 1조 6000억 원을 통해 신속히 매입을 재개하고 추가 캐피털 콜 실시도 즉각 준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20일 국회정무위원회 소속 양정숙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당 증권사는 신한, IBK, 대신, 미래에셋, 삼성, NH, 한국, 유안타, KB증권, DB금융투자입니다. 여기에 멀티에셋 자산운용을 포함 한 11곳이 ABCP에 2050억 원을 투자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증권사 별로는 신한투자증권이 신탁 형태로 550억 원으로 가장 많고, IBK투자증권 250억 원, 대신, 미래에셋, 삼성증권이 각 200억 원, NH, 한국, DB투자 증권이 각 150억 원, 멀티에셋자산운용이 100억 원 유안다 KB증권이 각 50억 원입니다. 이들은 모두 증권사 고유 계정이 아닌 법인투자자 계정으로 ABCP를 편입한 것으로 파악되어 개인투자자들의 피해는 크지 않을 거로 보입니다. 다만 증권사 고유계정 편입분이 없는 만큼 ABCP 관련 피해는 고스란히 고객에게 귀속될 거로 보입니다.
금감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자금시장 경색과 관련해 증권사, 건설사 부도 등 근거 없는 루머가 유포 확산함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투자자의 피해 및 자본시장의 신뢰도 저하가 염려되는 상황이라며 위기함에 편승해 사익을 추구 하는 행위에 대해 엄중 초지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 디 올 그랜저 GV7 풀체인지 외관, 인테리어, 제원, 가격 알아보기! (0) | 2022.11.21 |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개최지 소개와 본선 진출국 (0) | 2022.11.19 |
2022 근로자 휴가 지원사업 1만명 추가모집 (0) | 2022.10.31 |
청년 월세 지원 신청하기! (0) | 2022.10.31 |
스타벅스 선불 충전금 고위험 기업어음에 투자? (0) | 2022.10.19 |
댓글